티스토리 뷰
1. 대기 행렬 시스템
1) 대기행렬 ( Queue ) :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로 부터 서비스를 받기위해 기다리는 고객의줄
→ 어떤 서비스 시스템에서 현재 수요가 서비스 제공 능력을 초과할 때 대기행렬이 발생
2) 대기 이론 ( Queueing Theory )
→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요와 능력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대기 행렬과 설비가동률 등의 상호 관계를 수량적으로 나타낸 방법
→ 고객 대기나 설비 유휴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용의 균형을 찾고자 고객의 도착과 서비스가 확률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 및 전개된 기법
3) 대기행렬 시스템
원형 : 도착하는 고객들, 사각형 : 서비스 설비
4) 주요 용어
→ 모집단 ( Calling population ) : 시장에서 서비스를 받으려는 고객
→ 대기행렬규칙 ( Queue discipline ) : 도착한 고객 대기행렬에서 다음 고객의 선택 규칙
→ 진입포기 ( Balk ) : 서비스를 받기 위해 줄로 진입하지 않고 떠날 때
→ 중도이탈 ( Reneging ) : 대기중의 고객이 긴 대기로 인해 더 이상 대기하지 않고 줄을 떠날 때
→ 줄바꿈 ( Jockeying ) : 복수 대기열 시스템의 하나의 줄에서 다른 줄로 옮겨가는 고객
2. 대기 형렬모형의 기본요소
1) 총 서비스 대상 인원
→ 무한 : 누구나 사용할 수있는 서비스 설비
→ 유한 : 제한된 인원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설비
2) 도착 :
→ 임의의 도착 : 무작위 도착
→ 통제된 도착 : 예약과 같이 지정된 시각에 도착
→ 도착시간간격 : 평균도착시각간격과 따른는 분포에 대한 정보
3) 대기열
→ 줄의 개수 : 한줄 혹은 복수의 줄 여부
→ 길이 : 줄의 최대 길이의 제한 유무
→ 줄간 이동 : 대기하고 있던 줄에서 다른 줄로 이동 가능 여부
→ 대기의 취소 : 대기를 중단하고 시스템을 떠남
4) 서비스 순서
→ 선입선출 : 시스템에 들어온 순서대로 서비스
→ 후입선출 : 시스템에 늦게 들어온 순서대로 서비스
→ 우선권, 예약 : 우선권이 높은 순 혹은 예약 시간에 따라 서비스
→ 서비스 시간이 짧은 순 : 대기자 중에서 서비스 시간이 짧은 순
→ 서비스 제공자의 임의 : 서비스 제공자 마음대로 서비스
5) 서비스 제공 능력
→ 설비의 수 : 서비스 설비가 단일설비인지, 동종의 복수 설비인지 또는 여러 단계로 나누어져 있는지
→ 서비스 시간 : 평균 서비스 시간과 그 시간치의 분포
3. 도착과 서비스 시간의 분포
1) 포아송 분포와 지수분포
→ 포아송 분포 : 단위 시간당 도착수
→ 지수분포 : 도착간 시간간격
4. 대기이론의 모형화 ( Kendall-Lee 표기법 )
1) 시스템 내의 고객이 n 명 있을 확률
2) 시스템 내의 평균 고객수
3) 대기 행렬의 길이
4) 평균 대기 시간
5) 시스템내의 평균지체 시간
6) 서비스의 이용율
'Management > 산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 - 행렬과 행렬식 (0) | 2015.12.21 |
---|---|
[시뮬레이션] 난수 ( Random number ) (0) | 2015.12.03 |
[경제성공학] 대출, 대부, 투자 (0) | 2015.11.24 |
[시뮬레이션] 개론 (0) | 2015.11.18 |
[경제성공학] 돈의 시간적 가치와 이자 (0) | 201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