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시뮬레이션이란 ?
1) 시뮬레이션 ( Simulation ) :
→ 모의 실험이라고 번역하며, '남의 흉내를 냄, 모방, 본떠서 함 또는 흉내를 냄'
→ 실제의 어떤 시스템 또는 순차적인 일의 어느 시간 동안의 가동 상태를 흉내 내는 것
2) 시뮬레이션을 하는 이유
→ 조사 대상 시스템의 가동 상황이나 움직임을 인고적으로 만들어 관측해 봄으로 써 여러가지 현상들을 유추하는것
→ 실제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피해나 사고를 예바하고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 잘못된 점을 수정할 기회를 가짐
3) OR(Operation Research) 나 경영과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문제 해결 기법 중의 하나.
2. 시스템
1) 시스템
→ 어떠한 목적 하에서 움직이는 서로 관련된 요소들의 집합
→ 하나이상의 요소로 구성
각 요소간에 서로 연관되어 있고 또 상호 작용을하는 집합제
집합체의 행위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어야 함
2) 대기 행렬이나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
→ 서비스 시간의 길이보다 빠른 시간으로 고객이 도착할 때
3. 이산형과 연속형 시스템
1) 이산형 시스템 : 서비스를 하나씩 처리 가능한 것 ( 개단위 )
2) 연속형 시스템 :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4. 모형의 종류
1) 실체적 모형 ( Physical model ) : 어떤사실을 물체로 표시
2) 수학적 모형 ( Mathematical model ) : 상징적 기호를 사영하여 표시
3) 정적모형 ( Static model ) : 시간의 개념이 포함되지 않은 모형
4) 동적모형 ( Dynamic model ) : 시간의 개념이 포함된 모형
5) 확정적 모형 ( deterministic model ) : 임의의 변수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확정적 모델 ( 결과 동일 )
6) 확률적 모형 ( Stochastic model ) : 임의의 변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대상 모형의 특성을 추정 ( 결과 상이 )
→ 초상 모형 ( Iconic model ) : 실물을 축소나 확대하여 만든 모형
→ 유사 모형 ( Analog model ) : 시험을 하기 위해 모형을 만들어 사용하는 모형
5. 시뮬레이션 절차
1) 정확성 검정 ( Verification )
→ 작성된 프로그램이 의도한 대로 만들어 졌는가 ?
2) 타당성 확인 ( Validation )
→ 만들어진 모형이 대상 시스템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는 지 확인
6. 적용 효과
→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찰 방향을 제시하며 개선 및 혁신에 도움을 줌
→ 발생 가능한 문제점의 사전 도출 및 해결책 마련
→ 시스템 차원에서 부분적 효율을 지양하고 전체의 효율 향상을 고려가 가능
1) 제조 시스템에서의 적용
→ 설비투자 및 공장배치
→ 기계 종류 및 대수의 결정
→ 신장비 도입안 평가
→ 재공품 버퍼의 위치 및 크기 결정
→ 생산성 분석
2) 공장자동화 분석
→ 운반장비와 보조 장비의 종류와 대수 결정
→ 조달 기간 분석
→ 자동창고, 무인 반송차 등 물류 시스템의 설계 및 평가 분석
→ 재고 수준 및 재고 정책의 분석 평가
7. 시뮬레이션의 장단점
1) 장점
→ 현실세계의 시스템은 확률적 교호작용이 심하여 시뮬레이션이 유일한 해결 방법
→ 가설 설정을 최소화
→ 현존하지 않는 시스템도 시험 가능
→ 모형 구축후 다양한 시험이 가능
→ 비용이 적게 들고, 장기간에 대한 시험 가능
2) 단점
→ 무조건적 결과 수용 위험
→ 모형 구축에 많은 시간과 비용
→ 해석적인 방법 보다 컴퓨터의 사용기간이 길다.
'Management > 산업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뮬레이션] 대기이론 (0) | 2015.12.03 |
---|---|
[경제성공학] 대출, 대부, 투자 (0) | 2015.11.24 |
[경제성공학] 돈의 시간적 가치와 이자 (0) | 2015.11.18 |
[경제성공학] 개론 (0) | 2015.11.17 |
[DOE] 탐색적 데이터 분석, 실험계획법 이란 ? (0) |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