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변경 전 업무
- 1개월 발생 제조카드 평균 갯수 3,000개 정도가 발행된다.
- 제조카드별 공정 평균 갯수 13 개를 가지고 있다.
접점의 최소 갯수 ( 3000 * 13 * 2 = 78,000 )
- A4용지 39장의 EXCEL로 구성된 외주 임가공 단가표를 가지고 있다.
- 약 15,000줄의 임가공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2. 변경 대상 업무
1) 생산에서 관리하는 임가공
- 제조카드에 종속된 가공 또는 용접, 조립 등등의 거래행위가 있다.
- 제공품을 제공하고 가공되는 용역 ( 노동력 만 제공 ) 거래가 있다.
- 제공품을 일부 제공하고 추가의 소재 를 더하여 공급하는 거래가 있다.
- 제공품을 지급 하지않고 일부 공정을 제작해서 공급하는 거래가 있다.
- 제조카드가 존재하지 않으나 상기와 같은 공정들을 외주처리 하는 거래행위가 있다.
- 회사에 제공품을 적재 해 놓았는데 부식으로 인한 재 가공 행위가 있다.
( 이것은 분명 제조카드가 있어야 할것 같다. )
- 치공구 등의 가공 행위가 있다.
(엄격히 말해서 이것은 임가공이 아닌것 같다. 양에 따라서 분리 할지 말지 생각해야 할듯)
2) 자재에서 관리하는 임가공
- 원소재를 불출해서 형태를 변경해서 납품하는 행위가 있다.
( 어려운 문제이다. 원가를 생각한다면 ... 암담 하다. )
3) 정리하면 아래 두가지로 정리 할 수 있을 것 같다.
- 제조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거래 ( 임가공 )
- 자재 관리상에서 발생하는 거래 ( 소재가공 )
3. 임가공의 문제점
1) 한 업체에 다중 공정을 발주함으로서 공정의 진행현황과 발주, 입고에 따른 연계관계 처리가 복잡하다.
2) 한 제조카드의 공정을 여러개의 거래처에 나누어서 발주함으로 임가공 발주 행위의 정보 전달 문제가 발생한다.
3) 외주 업체의 능력 부족으로 일부 공정은 내부에서 지원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 열처리, 고압프레서 )
4) 주문서 발행의 편리성 추구로 다중 공정을 하나의 주문서로 발행하여 제조카드의 공정과 주문서간의 일괄처리불가하다.
5) 사내 외주의 공정을 외주 처리하므로써 주문서 발행이 늦은 경우가 발생한다.
6) 공정 LOT 흐름과 공정 정보의 입력이 이원화된다. ( 검사, 열처리, 포장 ... )
7) 사급 자재의 불출과 공정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8) 제조카드를 발행하지 않고 주문서로만 운영되다가 입고되면서 제조카드를 발행하는 경우가 있다.
4. 개선 방법
1) 개선 방식은 Push방식을 전재로 수행하였다.
2) 무조건 제조카드를 발행하게 하였다.
(이것은 제조원가의 기본에 충실하기 위한 것이며, 기업의 성과 평가에 가장 선행되야 함 )
3) 제조카드 공정을 표준화 하였다.
( 535개 상세공정을 8개의 대공정과 73개의 상세공정으로 나누고 Repare공정을 추가 )
4) 공정 흐름의 정규화에서 제조카드의 개념과 작업지시서, 작업흐름실적, 작업상세실적 을 구분화하였다.
5) 제조카드의 롯드와 작업지시서의 롯드, 작업실적의 롯드는 정확히 일치 하지 않는 것을 이해 시킨다.
6) 작업 지시서 번호의 체계를 ( 공정, 제조카드, Serial) 로 재 구성하였다.
7) 현장 시스템에서 작업지시의 공정 순서를 정하고 작업자로 하여금 다음 공정을 지정 할 수 있도록 조치 한다.
8) 다음 공정의 작업 지시서를 전공정에서 발행 하도록 한다.
9) 공정의 롯드 완료 실적 등록과 공정 상세 내역의 등록을 이원화 한다.
10) 작업반장 또는 조장을 통하여 현행공정상에 존재하는 제공품의 목록을 즉시 확인 할수 있도록 조치 한다.
11) 사내 공정의 경우 후행 주문서 발행 시스템을 설계하고 작업 실적을 기반으로 주문서 발행을 하고
입고 또한 동시에 일어 날 수 있도록 조치한다.
※ 일부 제약 조건들은 이곳에서 비용 지급에 제약을 걸어야 함
(원가상의 왜곡이나 하도급법에 위배 될 수 있음 주의 )
12) 단가 파일에서 공정으로 분류 될수 있는 단가를 각 상세 단가표로 분리한다.
13) 단가 계산을 위한 로직을 정리하고 Nego로직을 추가 한다.
14) 단가 파일의 방식은 4가지 타입으로 정리하였다.
- 제품별 단가표
- 공정의 단가표
- 다중 공정의 단가표
- 상세 공정의 단가표
15) Nego로직을 적용하기 위한 정책을 표준화 한다.
- 수주가에 대한 총괄 Nego,
- 주문량에 대한 총괄 Nego,
- 최소주문량에 대한 보증
16) 단가 적용 패턴은 여러가지가 존재하지만, 몇가지만 소개 한다.
- 제품 기준의 중량, 크기 등에 의한 적용 방법
- 소요 되는 자재의 중량, 크기, 작업 방법에 의한 적용 방법
17) 단가의 패턴을 정리하고 사용자 교육을 실시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단가표를 직접 입력 하게 한다.
- 단, 추후에는 단가표를 수정 할 수 있게해 줘야 한다. 전산실에서 수정하는 방법은 옳지 않은것 같다.
18) 사외 공정은 주문서를 발행하고 협력업체에서 인수시 작업지시서를 출력 가능하도록 조치 한다.
19) 입고시 제픔의 Tag를 부착하도록 협력업체에 바코드 프린터 구매를 지원 한다.
20) 현장의 입력 장치를 변경해 준다
21) 지속적으로 현장 실적과 정체 현황을 파악 할 수 있도록 홍보용 게시판을 설치 한다.
5. 변경 후 효과
1) 영업부 직원으로 하여금 고객에게 공정 진행 상태를 신속히 전달 가능하다.
2) 도장을 찍어서 배포하던 작업지시서가 사라 졌다.
3) 공정의 유연성을 제공함으로서 Repare등의 공정을 반영 하였다.
4) 하나의 주문서에서 다중 공정을 처리함으로서 공정의 추적성 및 진행현황을 정확히 알수 있도록 하였다.
5) 하나의 제조카드에 여러개의 공정을 협력업체에 주문가능하게 하였으며 작업지시가 가능 하도록 처리 하였다.
6) 외주 업체의 능력 부족으로 인하여 일부 공정은 내부에서 지원 해야 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였다.
( 열처리, 고압프레서 ) <= 이건은 완전히 처리 하지 못함 ( 설비투자로 해결필요 )
7) 주문서 발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다중 공정을 하나의 주문서 발행처리가 가능하나,
제조카드의 공정실적과 주문서 간의 일괄처리는 불가하였다.
단가 파일의 구분을 통하여 처리해 졌으나 단가 파일이 엄청나게 증가 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8) 후행 주문서 발행을 통해 사내 외주의 주문서 무효화(공정거래확보)를 제거하였다.
9) 공정 Lot흐름과 공정 정보의 입력이 이원화 ( 검사, 열처리, 포장 ... )는 정상적인 업무이며, 이것은 제약을 걸것인지
말것인지는 회사 정책에 따라야 구분하였다.
10) 전 공정 제조카드 발행을 통하여 추적성 향상 및 간접비의 직접비화 반영하였다. ( 단, 이부분은 경영적 판단 필요 )
정말 힘든 개선이기도 하면서 매우중요한 개선이기도 했다.
실질적인 행동이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며 .....
'Management > 경영에필요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 의존하지 말고 일을 즐겨라! (0) | 2019.06.23 |
---|---|
[경영] 수입검사의 시작은? 관리번호란? (0) | 2019.06.23 |
[경영] 생각의 차이 (0) | 2019.06.23 |
[경영] 변화를 일어키려면 (0) | 2019.06.23 |
[경영] 보고서의 길이 (0) | 2019.06.23 |